2015. 8. 5. 22:53


HSRP는 redundant protocol입니다. 

그런데, 문제가 한가지 있읍니다. 

이게 한 라우터가 Active가 돼고 다른 라우터는 standby mode가 돼어 있읍니다. 

이 소리가 뭔가 하니... 한 라우터로만 통해서 데이타가 전송이 됀다는것이지요.

(그래서, 요세는 GLBP를 쓰는걸로 알고 있읍니다. )


그런게, 두개의 라우터를 같이 사용하는 방법이 있읍니다. 

그게 Vlan을 통한것인 데요.


밑에 분에 그림을 보세요! 

만약에 HSRP가 SW3와 SW4에 설정이 돼어 있고 

Vlan 10하고 20가 있다면.


SW3를 Vlan10에 Active router로 만들고 Vlan20에 Standby로 

SW4를 Vlan20에 Active router로 만들고 Vlan10에 STandby로 만드는것이지요.

(이건 간단하게 두 쎄트에 standby컨피그로 설정 가능합니다.)


이렇게 설정을 했을때 Vlan10에 유저들은 보통 SW3를 통해서 데이타를 전송하다가 

SW3에 인터넷에 연결돼는 인터페이스 즉 (tracking interface)가 문제가 생겨서 Down돼면 

Vlan10에 Standby 인 SW4가 Vlan10에 Active가 돼면서 모든 Vlan10에 트래픽은 

SW4로 통해서 전송이 돼는것이지요. 


마찬가지로 Vlan20도 그렇게 돌아 갑니다. 


자 이럴때 필요한 중간 링크에 트렁킹 이유는 아무래도 redundancy가 아닐까 봅니다. 

두개의 Layer3 switch가 vlan과 HSRP status를 항상 알아야 하기 때문에.

그리고, active/standby role을 통해서 만약에 한 layer3 스위치가 Down이 돼면

다른쪽 스위치로 데이타를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설정이 돼어있다고 봅니다. 

'Networ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 부하분산 방식  (0) 2015.08.06
DHCP Relay Agent란?  (0) 2015.08.05
SSH Tunneling  (0) 2015.08.05
Cisco 라우터에서 DHCP, Relay Agent 구성하기  (0) 2015.08.05
Cisco장비에서 tftp설정  (0) 2015.08.05